음악/기타 4

로스트로포비치의 하이든 첼로 협주곡집

므스티슬라브 로스트로포비치(이하 '슬라바'라고만 씀)와 아카데미 관현악단의 1975년 녹음. 40년 넘게 수많은 이들의 극찬을 받아왔기에 굳이 나까지 거기에 보태야 하나 싶을 정도인 레퍼런스 중의 레퍼런스다. 일정한 음색, 균일한 비브라토, 고정된 템포에 거침없는 운궁으로 마치 드론으로 공중촬영하듯 음표들의 파노라마를 보여준다. 특정 음표에 대한 줌인을 전혀 하지 않고도 높은 몰입도를 유지한다(비슷한 컨셉의 해석을 안너 빌스마의 1989년 연주에서도 찾을 수 있는데, 지휘자인 슬라바와 음악학자인 빌스마가 서로 전혀 다른 방향으로 접근했음에도 같은 궤의 해석을 도출하는 것을 보면, 연구자로서의 시각과 자세는 연주 스타일에 확실히 영향을 주는 모양이다). 고전을 현대적인 언어로 논리정연하게 풀어내는 방법에 ..

음악/기타 2017.03.08

드보르작: 첼로 협주곡 - 므스티슬라브 로스트로포비치, 예브게니 스베틀라노프, 소련 국립 교향악단

소련이 둡체크의 프라하의 봄(Pražské jaro)을 좌절시키고자 체코를 침공한 바로 그 날 런던 로열 알버트 홀에서 이루어진 공연이다. 아래에 앨범 커버 내지의 내용을 대충 번역해서 올려본다. 스트라드(The Strad)지의 음악평론가인 툴리 포터(Tully Potter)와 로스트로포비치 자신의 회고이다.포터 : 1968년은 서방세계에서는 혁명의 해로 기억될 운명이었습니다. 주요 중심지들에서 학생들의 분노가 폭발했습니다. 유럽 심장부의 저 아름다운 고도시 프라하에서는 사람들이 20년간 이어져온 강경 공산주의를 거부하고 둡체크의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를 지지했죠. 본래는 연례 음악축제를 가리키던 '프라하의 봄'이 어느 새 히틀러, 그리고 스탈린과 그의 추종자들의 밑에서 신음하던 민족의 정치적 부..

음악/기타 2013.07.06

다닐 샤프란 [1] - 개요

다닐 샤프란(Daniil B. Shafran)은 1923년 레닌그라드에서 태어났다.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음악인이었다. 아버지 보리스(Boris Shafran)는 레닌그라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수석 첼리스트였고 어머니인 프리다 모이세예브나(Frida Moiseyevna)는 피아니스트였다. 샤프란은 어린 시절 연습목표량을 채우기 전에는 아파도 병원에 가지 않을 만큼 엄격하고 진지한 음악가인 아버지에게 1년 반 가량 첼로를 배웠다. 레슨을 받는 동안 샤프란은 아버지의 가치관을 그대로 흡수하여 높은 목표를 세워 근면성실히 연습하는 것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게 되었고, 훗날 동시대에서 손에 꼽는 테크니션이 된다. 샤프란은 8살 때 아버지의 소개를 통해 레닌그라드 음악학교의 슈트리머(Alexander Shtrim..

음악/기타 2013.07.02

쇤베르크: 모세와 아론(Moses und Aron) - 피에르 불레즈, 로열 콘서트헤보우

-줄거리- 제1막 제1장 모세가 신을 애타게 찾는다. 불타는 가시덤불 속에서 신의 목소리가 들려온다. 신은 모세에게 선택받은 이스라엘인들을 집결시키도록 지시한다. 신은 이스라엘인들이 이제 이집트의 육체적, 정신적 속박에서 자유롭게 될 것이며, 우상숭배를 하지 않게 될 것이라고 한다. 모세는 신의 지시를 충분히 이해했지만 자신은 신에 대해서는 말로써 표현할 수가 없다고 호소한다. 그러자 신은 모세의 형 아론에게 이스라엘인들을 설득할 능력을 주었다고 말한다. 신은 자신이 끝까지 이스라엘인들과 함께할 것이며, 이스라엘인들의 국가는 다른 모든 국가들의 모범이 될 것이라고 한다. 모세는 아론을 만나기 위해 사막으로 간다. 제2장 모세는 아론에게 자신이 신으로부터 받은 지시에 대해 설명하고, 어떠한 형상으로도 표현..

음악/기타 2013.07.02